마음의 고고학 : 감정의 신경진화적 기원
The Archaeology of Mind : Neuroevolutionary Origins of Human Emotions
마음의 고고학 : 감정의 신경진화적 기원
1 한글판 번역 서문
1.2 이 책 활용 방법
이 웹판은 컴퓨터 화면에서 보는 것과 모바일폰으로 보는 것은 차이가 큽니다. 가능하면 컴퓨터 모니터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. 컴퓨터 화면에서는 내용이 3등분 되어 있습니다.
•왼쪽: 24권의 목차가 있고, 각 권을 클릭하면 바로 그 해당 권으로 옮겨갑니다.
•가운데: 24권 중에서 각 권에 해당되는 책 전체가 보여지기 때문에 개인의 인터넷, 웹 환경에 따라 스크롤링 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. 천천히 보면 각권의 내용을 끝까지 볼 수 있습니다.
•오른쪽: 왼쪽의 각권에 따른 가운데의 본문과 함께, 오른쪽이 소제목이 보입니다. 전체를 보려면 PageDown 해서 보시면 되며, 오른쪽에 보이는 소제목에 따라 보시려면 소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그 소 제목에 따른 내용을 가운데 본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.
1.2.1 연락하기
『마음의 고고학: 감정의 신경진화적 기원』(The Archaeology of Mind: Neuroevolutionary Origins of Human Emotions)은 초벌 번역된 것으로 학술적 인용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연구자분들께서는 영어 원서와 대조하여 보다 정확한 번역으로 인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. 이 번역은 앞으로 더 나은 발전을 위해 계속 수정될 예정입니다. 번역과 관련된 제안이나 수정 사항이 있다면 번역자의 CV에 기재된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. 다만, 바쁜 일정으로 인해 답변이 지연되거나 개인적인 답변을 받지 못할 수도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 연구자로서 모든 질문에 직접 답변드리기 어려울 때가 있음을 양해해 주시길 바랍니다.
번역된 내용과 관련하여 제안, 수정, 또는 첨삭해 주실 내용이 있으시다면 매우 환영합니다. 번역자의 이력서에 있는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더 나은 번역을 위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함께 한국에서 신경정신분석치료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.
1.3 감사의 글
번역자가 정신분석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교류분석(Transactional Analysis) 수련 과정으로 거치면서 좀 더 깊은 인간의 심리적 이해를 위해 궁금해하면서였습니다. 이후 예명대학원대학교에서 정신분석을 공부하면서 좀더 한걸음을 더 내딛게 되었습니다. 특별히 예명대학원대학교 정신분석상담학 주임교수님이신 강응섭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.
1.4 번역 일정
1.0: 2025.04.28: 초벌 번역 및 홈페이지 게시
1.1: 2025.12.30: 오타 수정, 이미지 한글화
2025년 4월 28일
박 용 민 옮김
Copyright ⓒ 2025 Phillip Y. Park. All Rights Reserved.